📋 기본 정보
- Section: 노인학대 예방 (1부 요양보호와 인권, 2절)
📚 PDF로 보기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A. 학습 목표 🎯
- 노인학대의 개념과 발생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
- 노인학대의 다양한 유형을 구분하고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
- 노인학대 현황과 통계 자료를 분석할 수 있다
-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법적·제도적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
- 신고의무자로서 요양보호사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
B.핵심 개념 정리🔑
B.1: 노인학대의 정의
- 정의: 노인의 가족 또는 타인이 노인에게 신체적, 언어·정서적, 성적, 경제적으로 고통이나 장해를 주는 행위, 또는 노인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적절한 보호조차 제공하지 않는 방임, 자기방임 및 유기를 의미함
- 중요 포인트:
- 노인복지법 제39조의9에서 '누구든지 65세 이상의 사람에 대하여 학대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'라고 명시
- 노인복지법 제1조의2(정의) 제4항에 노인학대 정의가 명시됨
B.2: 노인학대 발생 요인
- 정의: 노인학대가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으로, 크게 5가지 요인으로 구분됨
- 중요 포인트:
-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(성별, 연령, 학력 등)
- 노인의 건강, 경제, 심리적 기능 요인(의존성, 자아존중감 등)
- 가족상황적 요인(동거 여부, 부양자 특성, 자녀와의 관계)
- 사회관계망 요인(사회적 고립도)
- 사회문화적 요인(노인차별주의, 가족주의 등)
B.3: 노인학대 유형
- 정의: 노인학대는 크게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됨
- 중요 포인트:
- 신체적 학대: 물리적 힘이나 도구를 이용해 신체적 손상, 고통, 장애 유발
- 정서적 학대: 비난, 모욕, 위협, 협박 등 언어적/비언어적 행위로 정서적 고통 유발
- 성적 학대: 성적 수치심 유발 행위, 성희롱, 성추행 등 강제적 성적 행위
- 경제적 학대: 노인의 자산 동의 없이 사용 또는 착취, 노동에 대한 보상 미지급
- 방임: 부양의무자가 의도적/비의도적으로 의식주/의료 보호 제공 거부
- 자기방임: 노인 스스로가 자기보호 행위를 포기하거나 관리 않음
- 유기: 스스로 독립할 수 없는 노인을 격리하거나 방치
B.4: 노인학대 현황
- 정의: 노인학대 발생 실태 및 통계에 관한 정보
- 중요 포인트:
- 학대사례(2022년): 전체사례의 34.8%, 전년 대비 0.5% 증가(6,774건→6,807건)
- 학대유형 순위: 정서적 학대(43.3%), 신체적 학대(42.0%), 방임(6.5%) 순
- 학대행위자: 배우자(34.9%), 아들(27.9%), 기관(18.2%), 딸(8.3%) 순
- 장소별: 가정 내 학대(86.2%), 생활시설 학대(7.1%), 이용시설 학대(0.3%)
B.5: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법적·제도적 장치
- 정의: 노인학대 방지 및 예방을 위한 법률과 제도적 시스템
- 중요 포인트:
- 노인복지법 제39조의6: 노인학대 신고의무와 절차 명시
- 요양보호사는 직무상 노인학대를 알게 된 때 즉시 신고 의무(미신고 시 500만원 이하 과태료)
-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: 보건복지부, 시·도, 시·군·구, 노인보호전문기관, 노인복지시설, 사법경찰, 의료기관, 법률기관 등
C. 암기 포인트📝
- 노인학대 정의: 신체적·정신적·정서적·성적 폭력 및 경제적 착취 또는 가혹행위, 유기, 방임
- 학대 유형 7가지: 신체적, 정서적, 성적, 경제적, 방임, 자기방임, 유기
- 학대 유형별 비율(2022): 정서적(43.3%), 신체적(42.0%), 방임(6.5%)
- 학대행위자 유형: 배우자(34.9%), 아들(27.9%), 기관(18.2%)
- 학대발생장소: 가정 내(86.2%), 생활시설(7.1%)
- 신고의무자 위반 시 과태료: 500만원 이하(노인복지법 제61조의2)
- 노인학대 신고전화: 1577-1389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- [ ] 노인학대의 7가지 유형과 각 유형별 특징 파악
- [ ] 노인학대 발생 요인 5가지 이해
- [ ] 노인학대 현황과 최신 통계 숙지
- [ ] 요양보호사의 신고의무자 역할 이해
- [ ] 노인학대 예방 관련 법적 근거 파악
E. 예상 문제 유형🎪
- 객관식: 노인복지법에서 정의하는 노인학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- ① 신체적 폭력
- ② 정서적 폭력
- ③ 경제적 착취
- ④ 형제간 갈등
- [정답: ④]
- 객관식: 다음 중 노인학대 유형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?
- ① 신체적 학대
- ② 정서적 학대
- ③ 방임
- ④ 경제적 학대
- [정답: ②]
-
객관식: 2022년 기준 노인학대 행위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?
- ① 아들
- ② 배우자
- ③ 기관
- ④ 딸
[정답: ②]
-
객관식: 요양보호사가 직무상 노인학대를 알게 되었으나 신고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는?
- ① 100만원 이하
- ② 300만원 이하
- ③ 500만원 이하
- ④ 1,000만원 이하
- [정답: ③]
- 객관식: 다음 중 노인 자기방임의 예로 볼 수 있는 것은?
- ① 노인을 병원에 데려가지 않음
- ② 노인 스스로 치료를 거부함
- ③ 노인의 연금을 무단 사용
- ④ 노인을 시설에 유기함
- [정답: ②]
- 객관식: 노인학대의 특성이 아닌 것은?
- ① 지속성
- ② 복합성
- ③ 은폐성
- ④ 공개성
- [정답: ④]
- 객관식: 노인학대 신고전화는?
- ① 119
- ② 112
- ③ 1366
- ④ 1577-1389
- [정답: ④]
F. 학습 팁💡
- 노인학대 유형을 공부할 때는 각 유형별 구체적인 사례를 함께 익히면 이해가 쉽습니다.
- 통계 수치는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하여 학습하세요(현재 자료는 2022년 기준).
- 노인복지법의 관련 조항(특히 제39조의6, 제61조의2)은 반드시 숙지하세요.
- 신고의무자로서 요양보호사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이해하세요.
- 실제 노인학대 사례를 학습하면서 각 상황에서 어떤 유형의 학대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됩니다.
- 요양보호사가 현장에서 노인학대를 발견했을 때의 대응 절차를 순서대로 정리해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