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- Section: 요양보호사의 건강 및 안전관리
📚 PDF로 내용 보기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A. 학습 목표 🎯
- 요양보호사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다
-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과 주요 증상을 설명할 수 있다
-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및 관리법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
- 요양보호사에게 흔한 감염성 질환과 예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
- 직무스트레스의 원인과 관리방법을 실천할 수 있다
B.핵심 개념 정리🔑
B.1: 근골격계 질환
- 정의: 반복적인 동작, 부적절한 작업자세, 무리한 힘의 사용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장애로 목, 어깨, 허리, 팔다리의 신경, 근육 및 주변 조직에 나타나는 질환
- 중요 포인트:
- 요양보호사는 특히 허리(84.94%), 어깨(84.31%), 손/손목/손가락(77.52%) 통증 호소율이 높음
- 작업적 상황(반복 동작, 불안정한 자세, 무거운 물건 이동 등), 환경적 요인(미끄러운 바닥, 불량한 장비 등), 개인적 요인(체형, 근력, 피로도 등)에 의해 발생
- 실무 연관성: 대상자 체위변경, 이동, 목욕 등 일상 요양보호 활동에서 근골격계 질환 위험이 높음
B.2: 근골격계 질환의 종류 및 관리법
- 정의: 어깨 통증, 손목 통증, 요통, 목 통증 등 신체 부위별로 나타나는 주요 근골격계 질환
- 중요 포인트:
- 어깨 통증: 상체를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주로 발생, 옷 입고 벗기 등 일상활동이 힘듦
- 손목 통증: 수근관증후군은 손바닥과 손가락 저림, 손의 감각이상, 저린 감각, 통증 등 특징
- 요통: 올바른 자세와 요추 안정화 운동으로 예방 관리
- 목 통증: 오랜 시간 목을 구부리거나 위로 올려다보는 작업 시 발생
- 실무 연관성: 부위별 스트레칭과 근육 운동을 통해 질환 예방 및 관리 가능
B.3: 감염 예방
- 정의: 요양보호사가 자신과 대상자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활동
- 중요 포인트:
- 결핵, 독감(인플루엔자), 노로바이러스 장염, 옴, 머릿니 등이 주요 감염성 질환
- 적절한 보호장구 착용, 예방접종, 손 씻기, 개인위생 철저 등이 중요
- 감염 증상 발생 시 업무 중단 및 적절한 치료가 필요
- 실무 연관성: 감염 전파 방지는 요양보호사와 대상자 모두의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업무
B.4: 직무스트레스 관리
- 정의: 업무로 인해 근로자의 능력, 자원, 바람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·정서적 반응
- 중요 포인트:
- 직무요구, 감정노동, 성희롱, 역할모호, 조직체계 등이 요양보호사의 주요 스트레스 요인
- 스트레스 대처 방법: 긴장이완기법, 호흡법, 심상훈련, 인지수정 등 활용
- 규칙적 생활, 충분한 수면, 적당한 운동, 취미생활 등으로 예방
- 실무 연관성: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소진을 예방하고 서비스 질을 유지할 수 있음
C. 암기 포인트📝
- 산업안전보건법 근골격계 질환 정의: 반복적 동작, 부적절한 작업자세, 무리한 힘의 사용 등으로 인한 신경, 근육 및 주변 조직 질환
- 근골격계 질환 발병 단계: 1단계(휴식 후 증상 사라짐), 2단계(작업 시작부터 통증 발생), 3단계(일상 움직임에도 통증)
- 감염병별 주요 관리법: 결핵(호흡기 격리), 독감(10-12월 예방접종), 노로바이러스(2-3일 업무중단), 옴(동시 치료)
- 요양보호사 통증호소 부위 순위: 허리(84.94%) > 어깨(84.31%) > 손/손목/손가락(77.52%) > 다리/무릎(75.61%)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- [ ]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 3가지 이상 설명 가능
- [ ] 주요 근골격계 질환별 예방 스트레칭 3가지 이상 실행 가능
- [ ] 요양보호사에게 흔한 감염성 질환 5가지와 예방법 설명 가능
- [ ] 직무스트레스 대처 방법 3가지 이상 실천 가능
- [ ] 근골격계 질환 발병 단계와 치료법 이해 완료
E. 예상 문제 유형🎪
- 단답형: 요양보호사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근골격계 통증 부위는? [허리]
- 객관식: 근골격계 질환의 작업적 위험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 ① 반복적 동작 ②불안정한 자세 ③무거운 물건 이동 ④충분한 휴식시간][④충분한 휴식시간]
- 단답형: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며 직사광선에 약한 감염병은? [결핵]
- 객관식: 노로바이러스 장염 감염 후 업무 중단 기간으로 적절한 것은?
- ① 즉시 복귀 ②1일 ③2-3일 ④7일][③2-3일]
- 단답형: 수근관증후군과 관련이 깊은 신체 부위는? [손목]
- 객관식: 다음 중 직무스트레스 관리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- ① 규칙적 수면 ②긴장이완기법 ③술이나 담배로 긴장해소 ④취미활동][③술이나 담배로 긴장해소]
- 단답형: 요통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운동은? [요추 안정화 운동]
- 객관식: 옴의 전파 경로가 아닌 것은?
- ① 직접접촉 ②침구류 공유 ③식기 공유 ④의복 공유][③식기 공유]
- 단답형: 독감 예방접종 권장 시기는? [10-12월]
- 객관식: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가장 관련 깊은 것은?
- ① 신체적 부담 ②대상자 감정조절 ③시간 압박 ④업무 범위][②대상자 감정조절]
F. 학습 팁💡
- 근골격계 질환 예방 스트레칭은 실제로 따라해보며 몸으로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
- 신체 부위별 통증 증상과 예방법을 연결해서 암기하면 효과적입니다
- 감염병은 증상, 전파경로, 예방법, 관리법 순서로 정리하면 기억하기 쉽습니다
- 직무스트레스 대처방법은 실제 업무 중 활용할 수 있도록 평소에 연습해보세요
-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표와 그림을 시각적으로 기억해두면 실전에서 도움이 됩니다
- 감염 예방은 본인뿐 아니라 대상자 보호를 위한 필수 요소라는 점을 명심하세요
- 업무 중 통증이 발생하면 초기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만성화 예방에 중요합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