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- Section: 9장 요양보호 기록과 업무보고 3절 사례관리지원과 업무회의
📚 PDF로 내용 보기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A. 학습 목표 🎯
- 장기요양 사례관리 체계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
- 사례관리 과정의 단계와 요양보호사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
- 사례회의와 월례회의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
- 급여제공 기본절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
B.핵심 개념 정리🔑
B.1: 장기요양 사례관리
- 정의: 국민건강보험공단(보험자)과 장기요양기관(제공자)의 상호협력을 통해 복합적 욕구를 지닌 장기요양수급자에게 장기요양급여와 관련 자원을 연계, 조정, 통합하는 활동
- 중요 포인트:
- 공단은 케어조정자, 제공기관은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
- 수급자 중심의 사정, 계획수립, 실행, 평가의 순환체계
- 수급자 개인별 기능상태와 욕구에 따른 개별화된 서비스 계획
B.2: 사례관리 과정
- 정의: 장기요양기관에서 수행하는 접수부터 종결까지의 체계적 서비스 제공 절차
- 중요 포인트:
- 방문요양의 경우 8단계 과정: ①접수 및 초기면접 ②욕구사정 ③사례회의(내부) ④급여제공계획서 작성 ⑤서비스 제공 ⑥점검(모니터링) ⑦사례회의(필요시) ⑧평가 및 종결
- 건강영역, 신체기능, 인지기능, 가족관계 등 다양한 영역 사정
- 매월 모니터링 실시 및 기록
B.3: 요양보호사의 사례관리 역할
- 정의: 주서비스 제공자이자 사례관리팀 일원으로서 현장에서 계획을 실현하고 변화를 관찰하는 역할
- 중요 포인트:
- 사례회의 참석 및 의견 제시
- 급여제공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
- 수급자 상태변화 관찰 및 보고
- 위기상황 발생 시 즉시 보고
B.4: 사례회의와 월례회의
- 정의:
- 사례회의: 대상자 상황과 서비스를 점검하고 평가하여 욕구에 맞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회의
- 월례회의: 요양보호사들이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기관이 업무정보를 전달하는 회의
- 중요 포인트:
- 사례회의 목적: 서비스 질 관리, 정보교환, 계획 검토, 역할분담
- 월례회의에서는 업무 관련 정보 전달, 대상자 관련 정보 공유, 애로사항 청취
C. 암기 포인트📝
-
장기요양 사례관리체계의 3가지 특성:
- 보험자-제공자 협업 모델
- 수급자 중심 순환체계
- 개별화된 서비스 계획
-
급여제공 7단계 절차:
- 방문
- 일정관리
- 사전확인
- 서비스 제공
- 기록
- 확인 및 서명
- 퇴실
-
요양보호사의 사례관리 7가지 역할:
- 사례회의 참석
- 급여제공계획 숙지
-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
- 모니터링 참여
- 위기상황 보고
- 평가 업무 참여
- 양질의 서비스 제공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- [ ] 장기요양 사례관리 체계의 3가지 특성 이해
- [ ] 사례관리 8단계 과정 순서 암기
- [ ] 요양보호사의 사례관리 역할 7가지 이해
- [ ] 사례회의 목적과 절차 숙지
- [ ] 급여제공 7단계 절차 실습
E. 예상 문제 유형🎪
-
객관식: 장기요양 사례관리체계의 특성으로 올바른 것은?
- 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단독으로 사례관리를 시행한다
- ② 보험자와 제공자의 상호연계를 통한 협업모델이다
- ③ 일회성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둔다
- ④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을 우선시한다
- [정답: ②]
-
객관식: 방문요양에서 사례관리 과정의 올바른 순서는?
- ① 욕구사정 → 접수 → 서비스 제공 → 평가
- ② 접수 → 욕구사정 → 사례회의 → 계획수립 → 서비스 제공 → 점검 → 평가
- ③ 계획수립 → 서비스 제공 → 사례회의 → 점검
- ④ 접수 → 서비스 제공 → 욕구사정 → 평가
- [정답: ②]
-
객관식: 사례관리에서 요양보호사의 역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- ① 급여제공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
- ② 수급자의 기능상태 변화 관찰
- ③ 개인별장기요양이용계획서 작성
- ④ 위기상황 발생 시 즉시 보고
- [정답: ③]
-
객관식: 사례회의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 ① 대상자 서비스 질 관리
- ② 인사 및 복리후생 논의
- ③ 서비스 계획 타당성 검토
- ④ 직종 간 역할분담 명확화
- [정답: ②]
-
객관식: 급여제공 절차 중 '사전확인' 단계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은?
- ① 다음 방문일정 확인
- ② 서명 완료 여부
- ③ 거주환경의 정비상태 및 위험요소
- ④ 수급자의 취미생활
- [정답: ③]
F. 학습 팁💡
- 장기요양 사례관리 체계는 실제 현장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보험자(공단)와 제공자(기관)의 역할 구분을 명확히 이해하세요.
- 급여제공 절차 7단계는 실습을 통해 체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동영상을 반복 시청하며 절차를 익히세요.
- 요양보호사의 사례관리 역할을 실제 사례와 연결하여 이해하면 암기가 쉽습니다.
- 사례회의와 월례회의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세요. 사례회의는 개별 대상자 중심, 월례회의는 업무 전반에 관한 회의입니다.
- 10장 요양보호 업무 협력과 연계할 때 사례관리 내용이 중복 출제될 수 있으니 함께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