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
  • Section: 식사와 영양 요양보호

📚 PDF로 내용 보기
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
A. 학습 목표 🎯

  • 신체활동 지원의 원칙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  • 대상자의 요구에 적합한 식사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.
  • 다양한 식사 형태와 식사 자세를 구분하고 적용할 수 있다.
  • 경관영양 지원 방법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.

B.핵심 개념 정리🔑

B.1.일반적 원칙

  • 정의: 식사와 영양 지원의 기본적인 방향과 태도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대상자의 식사 습관과 소화능력을 고려하여 음식 선택
    • 식사 전 손 씻기와 주변 환경 청결 유지
    • 대상자의 자립성 존중(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스스로 하게 함)
    • 식사 전 과정에서 사레, 구토, 청색증 등 이상 징후 관찰

B.2.노인 영양상태 관찰

  • 정의: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점검하여 건강 위험 요인 파악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영양부족 위험 요인: 적은 식사량, 불균형 식사, 약물, 고령, 질환, 사회적 고립 등
    • 영양부족 확인 지표: 체중 감소, 기능 저하, 마름, 배변 양상 변화, 피로, 상처회복 지연

B.3.식사의 종류

  • 정의: 대상자의 저작 및 연하 능력에 따른 식사 형태 구분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일반식: 저작과 연하 능력에 문제 없는 대상자용
    • 저작 도움식: 잘게 썰거나 부드럽게 조리하여 씹기 편한 형태
    • 연하 도움식: 갈아서 제공하거나 점도증진제로 삼키기 쉽게 조정
    • 유동식: 경구 유동식(입으로 먹는 미음형태), 경관 유동식(비위관 통한 공급)

B.4.식사자세

  • 정의: 대상자의 상태에 맞는 안전하고 적절한 식사 위치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올바른 식사 자세: 의자에 깊숙이 앉고, 식탁은 가슴과 배꼽 사이 높이
    • 침대에서 식사: 침대 머리를 30~60° 올려 상체를 높임
    • 편마비 대상자: 건강한 쪽을 아래로 하여 옆으로 눕히고 마비된 쪽 지지

B.5.식사 돕기

  • 정의: 대상자의 독립성을 최대한 유지하며 식사 지원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식사 전 음식 온도 확인, 호흡 정리, 의치 정비
    • 대상자가 충분히 삼킨 후 다음 음식 제공
    • 사레들림 방지: 목을 약간 숙이고 턱 당긴 자세 유지
    • 식사 후 30분간 앉은 자세 유지

B.6.경관영양 돕기

  • 정의: 입으로 식사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관을 통해 영양 공급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영양액은 체온 정도로 데워 준비
    • 대상자를 오른쪽으로 눕히거나 상체 높임
    • 주입 속도 조절(1분에 50mL 이상 주입 금지)
    • 비위관 상태 지속 관찰, 이상 시 즉시 보고

C. 암기 포인트📝

  • 첨가당 섭취 상한: 2,000kcal 기준 50g
  • 포화지방 섭취 권장량: 1일 8g 미만, 2,000kcal 기준 15g 미만
  • 나트륨 섭취량: 65-74세(2,100mg), 75세 이상(1,700mg)
  • 물 권장량: 하루 6-7잔(1,000mL)
  • 주요 식품군 교환표:
    • 밥 1공기(210g) = 식빵 3쪽(105g) = 고구마(210g)
    • 쇠고기(60g) = 돼지고기(60g) = 생선(70g) = 두부(80g)
    • 우유 한잔(200ml) = 요구르트(100g) = 치즈 2장(40g)
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
  • [ ] 식사와 영양 지원의 일반적 원칙 이해
  • [ ] 노인 영양상태 관찰 방법과 지표 숙지
  • [ ] 식사 종류 4가지(일반식, 저작도움식, 연하도움식, 유동식) 구분
  • [ ] 올바른 식사자세와 자세별 특징 파악
  • [ ] 식사 돕기 과정의 주의사항 숙지
  • [ ] 경관영양 돕기 방법과 주의사항 이해

E. 예상 문제 유형🎪

  1. 객관식: 사레들림을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식사 자세는?

    • ① 턱을 들고 고개를 젖힘
    • ②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이고 턱을 당김
    • ③ 완전히 누운 자세로 식사
    • ④ 마비가 있는 쪽을 아래로 향하게 함
    • [정답: ②]
  2. 객관식: 노인의 영양부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닌 것은?

    • ① 체중 증가
    • ② 신체 기능 저하
    • ③ 배변 양상 변화
    • ④ 상처회복 지연
    • [정답: ①]
  3. 객관식: 경관영양 시 주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
    • ① 영양액은 체온 정도로 데워 준비한다
    • ② 주입 속도는 1분에 100mL 이상이 적절하다
    • ③ 대상자를 오른쪽으로 눕힌다
    • ④ 비위관이 빠졌을 경우 의료진에게 알린다
    • [정답: ②]
  4. 객관식: 연하도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    • ① 저작 능력에 문제가 있는 대상자에게 제공한다
    • ② 고체상태의 음식을 갈아서 제공한다
    • ③ 통째로 음식을 삼킬 수 있는 대상자에게 적합하다
    • ④ 비위관을 통해서만 제공할 수 있다
    • [정답: ②]
  5. 객관식: 1일 나트륨 섭취 권장량이 가장 적절한 것은? (75세 노인 기준)

    • ① 1,000mg
    • ② 1,700mg
    • ③ 2,500mg
    • ④ 3,000mg
    • [정답: ②]

F. 학습 팁💡

  • 영양소별 섭취 권장량과 식품군별 교환 비율은 표로 정리하여 암기하세요.
  • 식사 돕기와 경관영양 돕기는 실제 절차대로 순서를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사레들림 예방법은 실무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특히 주의해서 학습하세요.
  • 식사자세는 대상자별 특성(편마비, 와상 등)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하며 공부하세요.
  • 실제 식사 지원 시나리오를 상상하며 단계별로 연습해보면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.
  • 올바른 식사 자세와 부적절한 자세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