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
  • Section: 4부상황별 요양보호 기술 > 13장임종 요양 보호 > 3절 임종 대상자의 권리

📚 PDF로 내용 보기
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
A. 학습 목표 🎯

  • 임종 대상자의 품위있는 삶과 죽음의 권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
  • 임종 대상자가 가진 구체적인 권리의 종류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
  •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개념과 작성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
  • 호스피스·완화의료의 종류와 이용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

B.핵심 개념 정리🔑

B.1: 품위있는 삶과 죽음의 권리

  • 정의: 임종 대상자가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생을 마감할 수 있는 기본적 권리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치료를 거부할 권리는 기본적으로 대상자에게 있음
    • 원하는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권리는 좋은 죽음의 중요 요소
    • 사생활을 침해받지 않을 권리는 임종 시에도 보장되어야 함

B.2: 임종을 앞둔 사람들의 권리장전

  • 정의: 1975년 미국 간호학회지가 발표한 임종 환자의 기본 권리를 명시한 선언문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총 15개 항목의 구체적 권리 명시
    •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울 권리, 평화와 존엄 속에서 죽을 권리 포함
    • 희망을 유지하고 돌봄을 받을 권리 강조

B.3: 사전연명의료의향서

  • 정의: 임종과정에서 연명의료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고 싶다는 본인의 의사를 남기는 법적 문서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19세 이상 성인이면 보건복지부 지정 등록기관에서 작성 가능
    • 작성 후에도 언제든지 변경이나 철회 가능
    • 의사결정능력 상실 시 의사 2인이 확인하여 이행 가능

B.4: 호스피스·완화의료

  • 정의: 말기질환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통증 및 여러 고통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전문 의료서비스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입원형, 가정형, 자문형으로 구분
    • 암, 후천성면역결핍증,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, 만성 간경화 환자 이용 가능
    • 신체적, 심리적, 사회적, 영적 고통 완화 목적

C. 암기 포인트📝

  • 연명의료의 종류: 심폐소생술, 인공호흡기, 혈액 투석, 항암제, 체외생명유지술, 수혈, 혈압상승제
  • 기본적 돌봄에 해당하는 의료행위: 진통제 투여, 영양분·물·산소 공급 (연명의료에 해당하지 않음)
  •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자격: 19세 이상 성인
  • 호스피스·완화의료 이용 가능 질환: 암, 후천성면역결핍증,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, 만성 간경화
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
  • [ ] 임종 대상자의 3가지 기본 권리 이해
  • [ ] 임종을 앞둔 사람들의 권리장전 주요 내용 파악
  • [ ]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절차 숙지
  • [ ] 연명의료와 기본적 돌봄의 차이점 구분
  • [ ] 호스피스·완화의료의 세 가지 유형 이해

E. 예상 문제 유형🎪

  1. 객관식: 임종 대상자의 권리 중 '치료를 거부할 권리'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    • ①모든 치료는 무조건 받아야 한다
    • ②치료 결정의 권한은 의료진에게 있다
    • ③근본적인 결정 권한은 대상자에게 있다
    • ④가족의 의견이 대상자의 의견보다 우선한다
    • [정답: ③]
  2. 객관식: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    • ①19세 이상 성인이면 작성할 수 있다
    • ②작성 후 언제든지 변경이나 철회가 가능하다
    • ③비위관(콧줄)이나 산소 공급도 중단 가능하다
    • ④등록기관에서 상담 후 작성할 수 있다
    • [정답: ③]
  3. 객관식: 호스피스·완화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
    • ①모든 질환의 환자가 이용할 수 있다
    • ②통증 완화보다 생명 연장이 주목적이다
    • ③입원형, 가정형, 자문형으로 구분된다
    • ④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있어야만 이용할 수 있다
    • [정답: ③]

F. 학습 팁💡

  • 임종 대상자의 권리를 실제 요양보호 상황에 적용하는 방법을 고민해보세요.
  •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호스피스·완화의료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세요.
  • 권리장전의 15가지 항목을 하나씩 이해하고, 각 권리가 왜 중요한지 생각해보세요.
  • 연명의료결정제도 관련 내용은 최근 법 개정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실제 사례를 통해 임종 대상자의 권리 존중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이해하면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