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- Section: 요양보호사의 인권보호와 자기계발 (1부 요양보호와 인권, 4장 1절)
📚 PDF로 내용 보기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A. 학습 목표 🎯
-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이해하고 권익보호를 위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
- 요양보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를 이해하고 상황에 따라 대처할 수 있다
- 요양보호사의 건강과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방 및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
B.핵심 개념 정리🔑
B.1: 요양보호사의 인권
- 정의: 요양보호사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자유인과 시민으로서의 자유권을 존중받으며, 직업인으로서 노동권을 보장받을 권리를 갖는다
- 중요 포인트:
- 평등권: 고용형태, 연령, 성별, 학력, 출신지역 및 종교 등에서 차별받지 않을 권리
- 노동 관련 권리: 휴식 및 여가, 노동시간 제한, 의견 표현, 동등한 보수, 공정한 노동조건
- 자유권: 의견과 표현의 자유, 사상·양심·종교의 자유, 신체의 안전에 대한 권리
- 실무 연관성: 요양보호사는 노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으로, 이들의 처우 개선이 곧 노인인권 보호와 연결됨
B.2: 요양보호사의 법적 권익보호
- 정의: 근로기준법, 산업안전보건법,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등 관련 법률에 의해 보장되는 요양보호사의 권리
- 중요 포인트:
- 근로계약: 법적 기준 미달 계약은 무효
- 근로계약서 필수 기재사항: 임금, 근로시간, 취업장소, 업무내용, 취업규칙
- 산업안전보건: 안전교육 의무, 작업중지권 보장, 건강보호 조치
- 실무 연관성: 산업재해는 육체적 작업(대상자 체위 변경 등), 교대근무(야간 요양), 직무 스트레스(욕설 등) 등으로 발생할 수 있음
B.3: 성희롱으로부터의 보호
- 정의: 돌봄서비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언어적, 육체적, 시각적 성희롱 행위로부터 요양보호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
- 중요 포인트:
- 성희롱 유형: 언어적, 육체적, 시각적 행위
- 장기요양기관장의 의무: 성희롱 예방교육 시행, 피해자 불이익 금지, 행위자 징계
- 요양보호사 대처법: 단호한 거부의사 표현, 피해사실 보고, 증거 수집
- 실무 연관성: 요양보호사와 대상자가 단둘이 있거나 치매 노인을 돌볼 때 성희롱 발생 가능성 높음
C. 암기 포인트📝
-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47조의2: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 근거
-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35조의4: 장기요양요원의 폭언·폭행·성희롱·성폭력으로부터의 보호
- 근로기준법상 필수 근로계약서 기재사항 4가지: 임금 및 근로시간, 취업장소와 업무, 취업규칙 내용, 기숙사 규칙
- 산업안전보건법 제52조: 위험 상황에서 작업중지권 보장
- 남녀고용평등법 제14조: 성희롱 발생 시 사업주의 조치 의무
- 산업재해보상보험법: 업무상 재해 보상 제도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- [ ] 요양보호사의 기본적 인권 3가지(평등권, 노동권, 자유권) 이해
- [ ] 법적 권익보호 제도 파악(근로기준법, 산업안전보건법, 산업재해보상보험법)
- [ ] 성희롱의 유형과 대처방안 숙지
- [ ]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의 역할 이해
- [ ] 산업재해 발생 시 보상제도 파악
E. 예상 문제 유형🎪
- 객관식: 요양보호사의 기본적 인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- ① 재산권 ②평등권 ③노동권 ④자유권]
- 객관식: 근로계약서에 반드시 명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?
- ① 임금 ②근로시간 ③취업장소 ④이전 직장 경력]
- 객관식: 산업안전보건법상 작업중지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 ① 작업중지 후 징계받을 수 있다 ②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 행사할 수 있다 ③관리자에게 보고해야 한다 ④불이익 처우를 받지 않는다]
- 객관식: 성희롱 행위 중 시각적 행위에 해당하는 것은?
- ① 음란한 농담 ②신체접촉 ③음란한 사진을 보여주는 행위 ④성적 비유]
- 단답형: 요양보호사 인권보호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설치·운영하는 기관은? [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]
- 단답형: 요양보호사가 업무상 재해를 당했을 때 적용받는 법률은? [산업재해보상보험법]
- 객관식: 장기요양기관의 장이 요양보호사의 건강문제 예방을 위해 취해야 할 조치가 아닌 것은?
- ① 단순반복작업 예방 ②직무 스트레스 관리 ③개인생활 간섭 ④작업환경 개선]
- 객관식: 수급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성희롱을 했을 때 장기요양기관의 장이 취해야 할 조치로 올바른 것은?
- ① 업무 전환 등 적절한 조치 ②무조건 참고 일하도록 지도 ③해당 수급자에게만 사과받기 ④요양보호사 교체만으로 문제 해결]
F. 학습 팁💡
- 노인장기요양보험법, 근로기준법,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법령의 핵심 조항을 연결지어 이해하세요.
- 성희롱 사례와 대처방안을 실제 상황에 적용해보는 연습을 하세요.
- 요양보호사의 인권과 노인 인권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통합적으로 이해하세요.
-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상 내용을 실제 업무상 위험과 연결하여 학습하세요.
- 법적 권리를 실무에서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는지 구체적인 절차를 숙지하세요.
- 평소 근무 중 발생할 수 있는 성희롱 상황을 예측하고 대처방안을 미리 준비해두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