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
  • Section: 10장 신체활동 지원 - 6절 복지용구

📚 PDF로 내용 보기
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
A. 학습 목표 🎯

  • 노인과 장애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한 복지용구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
  • 복지용구의 정의와 종류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
  •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복지용구의 급여방식과 품목을 구분할 수 있다
  • 각 복지용구의 특성과 사용법 및 주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
  • 대상자 상태에 맞는 적절한 복지용구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다

B.핵심 개념 정리🔑

B.1: 노인과 장애의 이해

  • 정의: 노인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·정신적 기능장애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저하된 상태, 장애는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상태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재활의 기본 원칙은 장애 극복과 일상생활로의 복귀
    • 환경적 요인(복지용구 제공, 가정환경 수정)과 신체적 훈련으로 중재 가능
    •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복지용구 서비스는 적응적 훈련기법의 일환

B.2: 복지용구의 정의와 분류

  • 정의: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"수급자의 일상생활·신체활동 지원 및 인지기능의 유지·향상에 필요한 용구"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급여방식: 구입방식(10종)과 대여방식(6종), 구입 또는 대여 가능(2종)으로 구분
    • 품목별 분류: 배설관리, 옮기기 및 이동, 목욕, 욕창예방, 침대, 안전 관련 등
    • 대상자의 상태와 필요에 맞는 맞춤형 제공이 중요

B.3: 배설관리 관련 복지용구

  • 정의: 화장실까지 이동이 어려운 대상자가 편리하게 배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용구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이동변기: 휴대성과 안정성이 중요, 탈부착 및 청소 용이성 필요
    • 간이변기: 대소변기로 구분, 침대 등에서 반듯이 누운 자세로 사용
    • 요실금 팬티: 경제적이고 반복 사용 가능, 흡수량이 적은 경우 사용

B.4: 이동 관련 복지용구

  • 정의: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의 이동성을 확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용구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수동휠체어: 이동성과 사회참여 제공, 잠금장치 확인 중요
    • 성인용 보행기: 종류(일반 보행기, 보행보조차, 보행차)에 따라 특성 다름
    • 지팡이: 한발/네발, T자형/접이형 등으로 구분, 체중의 20~30% 지지 가능
    • 안전손잡이: 낙상 방지를 위해 자주 왕래하는 장소에 설치

B.5: 목욕 관련 복지용구

  • 정의: 목욕 시 안전하고 편안한 자세 유지와 간병인의 부담 경감을 위한 용구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목욕의자: 안정적인 등받이와 팔걸이 필요, 미끄럼 방지 재질
    • 목욕리프트: 높낮이 조절을 통한 안전한 목욕 지원
    • 이동욕조: 침대 위나 거실에서 목욕 가능, 공간에 맞는 크기 선택

B.6: 욕창예방 관련 복지용구

  • 정의: 장시간 같은 자세로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예방하는 용구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욕창예방 방석: 신체 압력 분산, 공기방 구성으로 통풍성 좋음
    • 욕창예방 매트리스: 교대부양을 통한 압력 분산, 24시간 사용

B.7: 침대 및 안전 관련 복지용구

  • 정의: 요양 대상자의 자립 지원과 낙상 예방을 위한 용구
  • 중요 포인트:
    • 침대: 수동/전동 침대로 구분, 높낮이와 경사도 조절 가능
    • 배회감지기: 치매 대상자의 실종 예방, GPS형과 매트형으로 구분

C. 암기 포인트📝

  • 복지용구 급여방식: 구입(10종), 대여(6종), 구입 또는 대여(2종)
  • 이동변기 선정 시 고려사항: 변기통 탈부착성, 팔걸이/등받이 유무, 재질, 내구성
  • 성인용 보행기 종류별 특징: 일반 보행기(안정성↑, 속도↓), 보행보조차(속도↑, 안정성↓)
  • 욕창예방을 위한 관리: 신체압력 분산, 적절한 체위 변경, 영양 관리
  • 전동침대의 상판 구성: 4장(등받이, 엉덩이 받이, 대퇴부, 하퇴부) vs 3장(등받이, 대퇴부와 하퇴부)
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
  • [ ] 복지용구의 정의와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의미 이해
  • [ ] 복지용구 급여방식과 종류 구분
  • [ ] 각 복지용구별 선정 시 고려사항 숙지
  • [ ] 복지용구 사용 시 주의사항 숙지
  • [ ] 복지용구의 소독 및 관리방법 이해

E. 예상 문제 유형🎪

  1. 객관식: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복지용구 중 대여방식으로만 제공되는 것은?

    • ① 미끄럼방지 용품 ② 전동침대 ③ 목욕의자 ④ 욕창예방 방석
    • [정답: ②]
  2. 객관식: 이동변기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
    • ① 대소변 받이의 탈부착 여부 ② 팔걸이와 등받이의 유무 ③ 세척 가능한 재질 ④ 바퀴의 개수
    • [정답: ④]
  3. 객관식: 욕창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
    • ① 체중 감소 ② 지속적인 압력 ③ 실내 온도 ④ 옷의 재질
    • [정답: ②]
  4. 객관식: 다음 중 수동휠체어 사용 시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?

    • ① 평평한 지면에서만 사용한다 ② 항상 잠금장치를 확인한다 ③ 매일 청소한다 ④ 바퀴에 기름을 바른다
    • [정답: ②]
  5. 객관식: 목욕리프트의 주요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
    • ① 체온 유지 ② 물 절약 ③ 높낮이 조절 ④ 물 온도 조절
    • [정답: ③]

F. 학습 팁💡

  • 복지용구별 특성과 선정 기준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단순 암기보다 각 용구의 필요성과 기능을 연결해서 학습하세요.
  • 실제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. 가능하면 실습을 통해 직접 조작해보세요.
  • 노인의 신체적 특성과 각 복지용구의 기능을 연결해서 이해하면 암기가 쉬워집니다.
  • 복지용구 급여방식(구입/대여)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므로 확실히 구분하세요.
  • 일상생활과 복지용구 연결 실습 부분은 실제 상황에서의 적용 능력을 평가하는 내용으로, 실무에 중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