📋 기본 정보
- Section: 상황별 의사소통의 실제
📚 PDF로 내용 보기
이 섹션(Section)의 전체 내용을 PDF로 볼 수 있습니다.
A. 학습 목표 🎯
- 의사소통장애가 없는 대상자, 가족, 전문직과의 의사소통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
- 노인성 난청, 시각장애, 언어장애가 있는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
- 치매 대상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각 증상별로 구분할 수 있다
- 다양한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대처법과 의사소통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
B.핵심 개념 정리🔑
B.1: 의사소통장애가 없는 경우의 의사소통
- 정의: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대상자, 가족, 관련 전문직과의 의사소통 방법
- 중요 포인트:
- 대상자 존중: 존중하는 태도와 관심을 가지고 이름으로 호칭(동의 하에 어르신으로 호칭 가능)
- 가족과의 소통: 대상자 정보 수시로 공유, 의견 상충 시 시설장에게 보고
- 전문직/시설장과의 소통: 타 전문직 업무 이해와 존중, 대상자 이상 상태 즉시 보고
B.2: 노인성 난청 대상자와의 의사소통
- 정의: 퇴행성 변화로 인한 청각 기능 저하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
- 중요 포인트:
- 정면에서 눈을 보며 대화하기
- 입을 크게 벌리며 정확하게 말하기
- 보청기 사용 시 적절한 조절(입력은 크게, 출력은 낮게)
B.3: 시각장애 대상자와의 의사소통
- 정의: 형태나 색상 파악이 어려워 청각, 촉각, 후각에 의존하는 상태
- 중요 포인트:
- 지시대명사(여기, 이쪽) 사용 지양, 시계방향으로 위치 설명
- 신체 접촉 전 먼저 말 건네기
- 보행 시 요양보호사가 반보 앞으로 나와 대상자 팔을 이끄는 자세 취하기
B.4: 언어장애 대상자와의 의사소통
- 정의: 외상이나 뇌병변으로 말하는 능력이나 이해하는 능력에 이상이 있는 상태
- 중요 포인트:
- 얼굴과 눈을 응시하며 천천히 말하기
- 대상자의 말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기
-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(눈 깜빡임, 손짓, 고개 끄덕임) 활용하기
B.5: 치매 대상자와의 의사소통
- 정의: 판단력, 이해력 장애로 인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
- 중요 포인트:
- 생활리듬에 맞추기: 대상자의 속도에 맞춰 천천히 대응
- 이해하기 쉬운 단어로 간결하게 전달하기
- 정서적 접근: 감정표현을 자주하고 스킨십 활용하기
C. 암기 포인트📝
- 치매 대상자 정신행동증상별 원인과 대처법 표(망상, 환각, 배설행동, 배회, 공격성, 초조행동, 무감동, 우울, 불안, 섭식장애, 수면장애, 수집증, 성적행동)
- 노인성 난청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1가지
- 시각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9가지
- 언어장애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8가지
- 치매 대상자와 이야기하는 방법 14가지
D. 빠른 복습 체크리스트⚡
- [ ] 의사소통장애가 없는 경우의 대상자, 가족, 전문직 의사소통법 이해
- [ ] 노인성 난청, 시각장애, 언어장애 대상자 의사소통법 숙지
- [ ] 치매 대상자 의사소통 5가지 원칙 이해
- [ ] 치매 대상자 정신행동증상별 원인과 대처법 암기
E. 예상 문제 유형🎪
-
객관식: 노인성 난청 대상자와 대화할 때 적절한 방법은? ① 빠르게 크게 말한다 ② 대상자 옆에서 이야기한다 ③ 입을 크게 벌리며 정확하게 말한다 ④ 대상자의 귀에 대고 속삭인다 [정답: ③]
-
객관식: 시각장애 대상자에게 사물의 위치를 설명할 때 적절한 방법은? ① "저기 있어요"라고 말한다 ② 지시대명사를 사용하지 않고 시계방향으로 설명한다 ③ 크게 말해서 설명한다 ④ 손으로 끌어당겨 위치를 알려준다 [정답: ②]
-
객관식: 치매 대상자가 망상을 보일 때 적절한 대처 방법은? ①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설명한다 ② 부정하지 않고 감정에 공감한다 ③ 망상임을 확실히 인식시킨다 ④ 무시하고 다른 이야기를 한다 [정답: ②]
-
객관식: 언어장애가 있는 대상자와 의사소통할 때 부적절한 방법은? ① 대상자의 말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② 실물, 그림판, 문자판 등을 이용한다 ③ 질문에 대한 답변이 끝나기 전에 다음 질문을 한다 ④ 눈을 깜빡이거나 손짓 등으로 의사표현하게 한다 [정답: ③]
-
객관식: 치매 대상자의 배회 행동 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 ① 기억력, 지남력 저하 ② 활동하고자 하는 욕구 ③ 배회를 통해 지능을 향상시키려는 의도 ④ 불안감이나 긴장감 [정답: ③]
F. 학습 팁💡
- 의사소통장애 유형별 특징과 대처법을 표로 정리하여 비교 학습하세요.
- 치매 대상자 정신행동증상별 원인과 대처법은 표 형태로 암기하면 효과적입니다.
- 실제 현장에서 자주 경험하는 상황을 중심으로 우선 학습하세요(난청, 치매).
- 각 장애별 의사소통 방법을 실습하면서 익히면 더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.
- 정신행동증상별 대처법은 '부정/설득/논쟁하지 않기'와 '감정에 초점 맞추기'가 공통적으로 중요합니다.
- 5장(일상생활 지원)과 7장(치매 요양보호기술)과 연계하여 학습하면 더 효과적입니다.